분류 전체보기14 나의 지식의 가치를 뻥튀기한 방법 약 2주 전부터 네이버 지식 in에 답변을 달기 시작했다.자연스럽게 내가 그나마 잘 아는 분야인 경제에 관련된 답변을 집중적으로 달았다. ① 시공간적인 확장 AFPK, 신용분석사, 외환전문역, 증권투자권유대행인내가 몇 년 전 은행원을 목표로 휴학까지 해가며 따둔 자격증들에는 유효 기간이 존재하지만내가 나눈 지식은 기록될거고, 내가 답변한 질문으로 여러 명이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② 해피빈주변 사람들 중에 엄복동도 아니고, 1콩이라고 돈을 세는 사람이 있었는데 이걸 말하는구나~ 생각했다. 채택된 답변 1개당 100원 꼴로 전환이 되는 듯한데,나의 지식이 누군가의 의문을 풀어줄 수도 있지만 소외 계층의 생계에도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고 더욱 기뻤다. 내가 기부한, 그리고 앞으로 기부할 아이들에게.. 2024. 12. 15. 은행 고를 때, 다시는 손품 팔지 않는 방법 신문을 보면 내수 경기 악화가 부동산 투기 우려보다 우선시된듯하다.대기업도 자산을 매각하여 현금을 확보하고 있고, 블라인드를 열어보면 희망퇴직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음을 실감한다.지인들과의 모임에 나가면 제2의 imf가 아니냐며 우려하는 목소리도 실제로 들린다. 사람 마음이 다 비슷하지 않을까?경제적 위기 속에서 나를 지켜주는 것은 따뜻한 응원이 아닌 돈이다.코인, 금과 같은 귀금속, 주식, 부동산 다 좋지만, 현금이 있어야 자산가치 하락에도 대응할 수 있기에 절대 보유해야할 자산군이다. 불안정한 세상일수록 안정적인 뭔가를 찾으려하는데, 그 중 예금 이자가 해당될 것이다.내년부터 예금자보호법 한도가 은행당 5천만원 => 1억원으로 늘어난다고하는데,예금 이자를 많이 주는 곳을 발품파는 사람들이 많을 .. 2024. 12. 7. "쌀먹" 부업을 추천하지 않는 이유 얍카, 던파, 메이플. 어린 시절 내 여가시간을 책임졌던 게임들. 위 게임들의 초창기를 즐겼던 사람이라, 현재의 근황을 들으면 정말 같은 게임이 맞는지 놀라게 하는 점이 많다. 하지만 달라진 것은 게임 뿐만이 아니었다. 플레이하는 나도 바뀌었다.게임에 투자할 시간은 줄었지만 돈은 많아졌고, 사회로부터 나의 1시간이 얼마인지 알게 되었기에, 게임이 시간낭비로 느껴지는 순간 돈을 잃는 기분이 강하게 들기 시작했다. 반대로 게임으로 돈을 벌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낮은 노동강도, 상사 눈치도 안보고, 즐기면서 돈까지? 게임을 좋아하는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솔깃했을 것 같다. 실제로 메이플이나 던파에선 "광부"로서 게임 속 재화를 팔아서 생계를 꾸리는 사람이 적지 않음을 알고 충격을 받았다... 2024. 12. 2. 치열하게 살며 "꾸준히" 보람을 느끼는 방법 부족한 능력을 가졌음을 자각하고 최선을 다해 살아왔던 것 같다.학교에서든, 방학 때 알바 사업장에서든, 직장에서든, 일과가 끝나고난 집에서든정확하게 말하면 돈으로 겪은 에피소드들이 적지 않았기에, 돈을 벌기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부자는 되지 못했다) 군대를 포함하여, 10년 좀 안되게 걸렸다.그렇게 부럽던 대기업 명함도, 차도, 비록 아직 짓고 있지만 10억을 호가하는 집도 20대 후반에 전부 거머쥐었다. 물론 육체가 아프고 정신적으로 서럽던 시절로 돌아가고 싶진 않지만, 사회가 준 미션(취업, 직장, 수도권 집 등)들을 하나하나 클리어해가며 내가 찾던 행복이 이게 아니란 것은 점점 자명해졌다. 길을 잃어버린듯한 이 감정을 처음엔 "경제적 자유를 찾아 떠나라는 신호"로 해석했다.그렇게 꾸역꾸역 주관식 .. 2024. 11. 25. 이전 1 2 3 4 다음